레이블이 재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재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3월 26일 수요일

[tbn] 의성산불 닷새째, 인명피해 잇따라

의성 산불이 닷새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인명피해도 발생했다고 합니다.
현장 나가있는 한국도로교통공단tbn대구교통방송 신건 기자 연결해 산불 진화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신건 기자, 불은 많이 꺼졌나요?

-----------------------------------------------------------------

네 저는 지금 산불진화본부에 나와있습니다.

의성 산불로 인해 지금까지 18명이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역별로는 안동 2명, 청송 3명, 영양 6명, 영덕 7명의 인명피해가 있었습니다.

실종자도 1명 발생됐는데, 아직 소재가 파악되지 않았습니다.

사망자 상당수는 60대에서 70대로 알려졌습니다.

민가와 창고 등 257개소의 시설피해도 잠정 파악됐습니다.

의성은 2천 9백여 명, 안동 6천 9백여 명, 청송 1만 300여 명, 영양 980명, 영덕 2천 2백여 명 등 총 2만여 명이 의성 실내체육관 등 안전한 시설로 대피를 완료했습니다.

도로통제도 계속되고 있는데요.

어제 오후부터 영주에서 영천간 열차와 포항-동해간 열차운행이 중단됐고, 고속도로는 의성에서 예천 분기점 양방향, 동상주에서 영덕분기점 양방향이 통제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어제보다 헬기 10대를 더 늘어난 총 87대의 헬기가 순차적으로 투입됩니다. 또 인력과 장비를 대폭 늘려 최대한 많은 불을 잡는단 계획입니다.

산림당국은 내일 비소식이 있긴 하지만 안심하긴 이르다며, 최선을 다해서 금일 중으로 최대한 많은 주불을 진화한단 방침입니다.

지금까지 산불진화본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2022년 6월 23일 목요일

[KBS] 무너진 학교 옹벽 3년째 ‘방치’…“내 일 아냐”





[앵커]

 이처럼 장마가 시작되는데도 울산의 한 초등학교 옹벽이 무너진 지 3년이 지났는데도 복구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알고보니  지자체와 교육청이 서로에게 관리 책임을 떠넘기기면서, 복구가 늦어지고 있었습니다.

 신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옹벽이 무너진 초등학교 옆길으로 사람들이 지나 다닙니다.

 안전장치라고는 아이 키만한 접근금지선이 전부.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혹시 사고가 날까 불안하기만 합니다.

 [○○초등학교 학부모 : "이쪽으로 가지 마라 얘기는 하는데 걱정스럽기는 하죠. 바람이 많이 불거나 (접근 금지선이) 넘어질 수 있으니까."]

 옹벽이 무너진 건 태풍 '타파'가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던 2019년입니다.

 3년이 지난 지금도 복구가 되지 않은 이유는 뭘까?

 학교 소재 지자체와 교육청이 자신들의 관리가 아니라며  책임을 떠넘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시 학교 관계자와 울산 남구청 사이에 오간 공문입니다.

 학교 관계자가 복구를 요청하자,  구청은 교육청에서 처리해야 한다고 답합니다.

 [울산 남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급경사지를 소유하거나 관리하고 있는 학교 시설인 바, 학교 시설에서 (복구를) 하는 게 맞다. 그래서 저희들이 공문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울산교육청은 붕괴 지점이 사유지이고, 사유지는 지자체의 관리대상이라고 주장합니다.

 [울산시교육청 관계자/음성변조 : "사유지 같은 경우에는 관할 지자체에서 개인 땅 소유자한테 보수하라, 보강하라 하겠죠. 근데 그게 안됐을 때에는 관할 지자체에서 관리를 하게끔 돼 있더라고요."]

 울산시는 장마 기간 옹벽이 무너질 수 있다며 보강을 요청한 상황.

 지자체와 교육청이 관리 책임을 미루는 사이, 아무 것도 모르는 아이들만 무방비 상태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건입니다.

2020년 9월 9일 수요일

[G1] "배수로 있는지 몰랐다" 마을 물바다 만든 황당 이유





<앵커>
사전에 잘 대비했더라면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피해는 더 있습니다. 비가 많이 내렸던 강원도 양양에서는 일부 마을이 물에 잠겼었는데 확인 결과 태풍이 오기 전에 배수로를 정비하라는 공지가 내려왔는데도 관할 기관이 제대로 지키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내용은 G1 신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어두운 장례식장 복도를 따라 사람들이 급하게 빠져나옵니다.

바닥에는 물이 흥건하게 차 있고 직원들은 물을 퍼내느라 분주하게 움직입니다.

양양에 시간당 120mm 물폭탄이 떨어졌는데 인근 배수로가 막혀 물이 빠지지 않은 겁니다.

장례식장 측에서 중장비를 동원해 배수로를 걷어내자 5분 만에 물이 빠졌습니다.

[김영태/양양장례문화원 사장 : 주민들 여기 오신 분들 상 치르시는 분도 저희가 대피도 시키고 그리고 급히 그쪽(관할기관)에 연락을 취했는데 아무 해결점을 찾아주지 않아서.]

침수의 원인이 된 배수로를 가보니 오랫동안 관리되지 않은 듯 풀이 웃자라있고 곳곳이 부서져 있습니다.

파낸 곳에는 철근과 플라스틱관, 부직포 같은 폐기물이 널려 있습니다.

태풍이 왔을 당시 이곳 배수구는 건설 폐기물로 가득 차있어서 물이 제때 빠져나가지 못했습니다.

배수로 관할 기관인 강릉국토관리사무소는 태풍이 오기 전 배수로를 정비하라는 공지가 내려오기는 했지만, 관리해야 할 도로가 넓은 데다 만들어진 지 오래된 시설이라 미처 파악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강릉국토관리사무소 양양출장소 직원 : 물이 그쪽으로 빠져나가는지 제대로 인지를 못 했어요. 저희도 인력 동원하고 하는 데 한계가 좀 있더라고요.]

강릉국토관리사무소는 침수에 대한 보상은 법적 절차를 따르겠다고 밝혔습니다.

2019년 9월 23일 월요일

[KBS] 쓰러지고 부서지고 날아가고…부산 강풍 피해 커



[앵커]

태풍 '타파'가 근접해서 지나간 부산에서는 예상과 달리, 폭우보다는 강풍 피해가 컸습니다.

초속 30m 넘는 강한 바람에, 특히 해운대쪽에선 빌딩풍이 휘몰아쳤습니다.

건물 곳곳의 구조물이 부서지거나 날아갔고, 인명 피해도 속출했습니다.

신건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부산 도시철도 역사입니다.

철제 지붕이 바람에 펄럭이더니, 환풍구와 함께 뜯겨져 날아갑니다.

강풍에 휘청거리던 상가 간판도 인도로 힘없이 떨어집니다.

교차로 신호등은 거센 바람을 견디지 못하고 부러졌습니다.

태풍 '타파'가 몰아닥칠 당시 부산의 순간 최대풍속은 초속 32m.

나무가 뿌리째 뽑히는 위력입니다.

특히 고층 건물이 밀집한 해운대 지역에선 이른바 '빌딩풍'이 휘몰아쳐 사람들이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했습니다.

[이강섭/부산시 해운대구 : "태풍이 바람하고 너무 세게 불어가지고 이 동네가 아수라장 비슷하게 됐습니다."]

바람에 뜯겨 나간 주차타워 외벽 마감재가 전선을 건드리며 불꽃이 튀고, 공사장 곳곳에서 임시로 설치한 울타리가 무너졌습니다.

이런 구조물들은 강풍에 매우 취약해 2차 사고 위험이 큽니다.

[윤인준/대한건축사회 건축사 : "간판이나 건물 외장재, 내지는 공사용 건축가설 울타리는 바람에 대한, 안전에 대한 부분이 법적인 기준은 없습니다."]

자전거 보관대 지붕이 날아가 시민들 얼굴을 강타하는 등 부산에서만 강풍 2차 사고로 20여 명이 다쳤습니다.

부산소방 재난본부에는 간판 안전조치를 요구하는 신고가 600건 넘게 접수됐습니다.

또 강풍에 전선이 끊기며 곳곳에서 정전 사고도 잇따라 3천2백여 가구가 한때나마 큰 불편을 겪었습니다.

KBS 뉴스 신건입니다.

2019년 6월 4일 화요일

[KBS] 아찔했던 터널 화재…대응 체계 '허점'




비상 깜빡이를 켜고 멈춰선 차량. 천천히 움직이자, 옆 차로에서 화염에 휩싸인 화물차가 보입니다.

터널은 순식간에 연기로 가득 차 앞선 차량이 보이지 않을 정도입니다.

지난 달(5월) 23일, 부산 외곽순환도로 철마 4터널을 달리던 25톤 화물차에서 불이 났을 때의 모습입니다.

터널 안에 갇혀 오도 가도 못한 차량은 수십 대. 100여 명의 운전자와 탑승자들이 가까스로 800m를 걸어 나왔습니다.

소방대원 80여 명과 장비 30여 대가 신속히 투입돼 대피를 돕고 불을 초기에 꺼 대형 인명피해를 막았습니다.

사고 목격자[녹취]
"캄캄해서 앞이 안 보이니까 못 나오고 있었죠. 그런 다음에 연기가 조금씩 걷히더니 차선이 희미하게 보이더라고요. 그거 따라 나오니까 입구가 보이더라고요."

하지만 터널을 관리하는 한국도로공사의 재난 대응 체계에는 허점이 드러났습니다.

터널 화재 때 이른바 골든 타임은 최대 15분. 이 시간 안에 연기를 빼내 대피로를 확보해야 하지만, 이번 화물차 화재로 확산된 연기를 모두 제거하는 데는 1시간이나 걸렸습니다.

사고가 난 터널입니다. 이 터널 안에는 연기를 제어하고 뺄 수 있는 제연 시설이 아예 없습니다.

대형 사고 가능성 등 터널 위험도가 낮게 평가됐고, 터널 길이가 982m로 기준보다 18m 짧아제연 시설을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한국도로공사가 '이동식 제연 차량'을 운용하고 있지만, 부산·경남에는 고작 2대뿐입니다.

이번 터널 화재 때 제연 차량은 불이 난 지 50분이 지나서야 도착했습니다.

한국도로공사 담당자[녹취]
"거리도 영향을 미치고요. 사고가 났을 때는 도로상에 정체 현상도 있지 않습니까? 그런 부분도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터널 안의 비상 대피 통로도 정작 화재 때는 무용지물이었습니다.

김성모[인터뷰]/ 부산 기장소방서 지휘조사담당
"터널에 비상 대피시설이 거리마다 있기는 했는데, 이번 경우는 비상대피시설을 열면 반대차선으로 (연기가) 넘어가는 경우가 되겠습니다."

긴박했던 터널 화재로 드러난 부실한 방재 대책.

한국도로공사는 화재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걸 인정하고 개선 방안을 고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건입니다.

[tbn] 출발! 대구대행진 - 영남일보와 함께하는 도로 위 안전모드 ON / 스텔스 차선 (상)

류 : 출발! 대구대행진 2부, 최고운전 프로젝트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는 지역일간지 영남일보와 함께 합니다. ‘고령 운전자 교통안전’,그리고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단속’에 이어서 오늘부터는 새로운 주제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대구교통방송 신건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