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단독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단독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2년 11월 1일 화요일

[KBS] [단독] “특정업체 선정해라”…장애인체전 단복 선정 의혹



 [앵커]

지난달 치러진 제42회 전국장애인체전 준비 과정에서 울산시장애인체육회 임원이 선수단복을 특정업체가 공급하게 해달라며 선정위원들에게 전화를 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결국 그 업체가 선정됐는데 문제의 임원이 업체 설립부터 관여한 걸로 KBS 취재 결과 밝혀졌습니다.

 [리포트]

 지난 8월, 울산시장애인체육회는 전국장애인체전 때 선수들이 입을 단복 600벌을 공개입찰했습니다.

 예산은 5천 4백만 원.

 울산의 의류 도매 업체 두 곳이  입찰에 참여했습니다.

 사흘 뒤에 업체를 최종 선정하기로 하고, 선정위원 9명을 뽑았는데 위원 중 일부가 이상한 전화를 받았습니다.

 [장애인체전 선수단복 선정위원/음성변조  :  "이 사람들이 운동복이 좋든 안좋든 간에 그걸 (업체가) 해야 한다고…. 저는 최고 점수 밖에 줄 수가 없잖아요. 거의 협박인데…."]

 전화를 건 사람은  울산시장애인체육회 고위 임원으로, 선정위원 명단을 받아 직접 연락을 한 겁니다.

 위원들은 평가 끝에  체육회 임원이 추천한 업체를  선수단복 공급업체로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업체는 2020년 설립된 사회적 기업.

 그런데 설립 정관을 살펴보니, 선정위원들에게 전화를 건  장애인체육회 임원이 창립발기인으로 돼 있습니다.

 해당 임원은  장애인체전 성격상 사회적기업이 공급하는게 대회 취지에 맞다는 의견을 전한 것이고,  사회적기업 창립 발기인에 이름을 올린 것은 좋은 일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울산시장애인체육회 임원/음성변조  :  "장애인 단체가 부탁이 들어오는데 같은 장애인들이 도와주는게 낫지 않겠나. 그런 그런 표현을 내가 했나 모르겠지만은 한 사람, 한 사람 부탁하거나 그런 건 없어요."]

 울산시는  장애인체육회 임원의 행위에 대해 사실관계를 파악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건입니다.

2019년 10월 23일 수요일

[KBS] 신생아 두개골 손상…무슨 일이?




[앵커]
부산의 한 병원에서 태어난 신생아가 갑자기 머리 부분 골절과 외상성 뇌출혈 진단을 받고 의식 불명 상태에 빠졌습니다.

부모들은 병원의 의료사고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병원 측은 의료사고 가능성을 부인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신건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산의 한 병원 신생아실. 갑자기 의료진이 몰려와 아이의 상태를 살핍니다. 아이의 상태가 심상치 않다고 판단한 의료진은 큰 병원으로 이송하기로 결정합니다.

인근 대학병원에 도착해 진단한 결과, 아이는 두개골, 즉 머리 부분 골절과 외상성 뇌 출혈 진단을 받았습니다.

가만히 누워있던 아이의 머리에 큰 충격이 가해졌다는 겁니다.

아이 부모가 병원에서의 낙상 등 의료 사고 가능성을 제기하는 이유입니다.

신생아 부모[인터뷰]
"아기들을 한쪽 손으로 들고 다녀요. 그걸 봤을 때는 그런 (낙상) 사고가 있었을 것이라고 밖에 생각이 안들고요. 의사 선생님도 외부 손상이다 (라고 하시더라고요.)"

지난 15일 태어난 아이는 당시 특별한 외상이 없었고, 신생아 진료기록부를 살펴봐도 태어난 이후부터 지난 20일 오후까지 특이사항이 없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

상태가 급격히 나빠진 건 20일 오후 10시 이후. 문제는 아이 엄마가 아이를 마지막으로 본 오후 6시 40분을 전후로 이상하게도 2시간 가량의 신생아실 CCTV 녹화 영상이 없다는 겁니다.

때문에 신생아실에서 어떤 일이 어떻게 벌어졌는지 알 수 없는 상황.

해당 병원은 CCTV 영상이 비어 있는 이유는 알 수 없다며 신생아실에서는 문제가 없었고, 병원 이송 중 흔들리는 구급차 안에서 사고가 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병원 관계자[녹취]
"환자이송 과정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보니까 이송중에 차가 굉장히 많이 흔들렸더라고요. 여기서 혹시 개연성이 있지 않나."

해당 신생아 부모는 경찰에 병원을 고소했고, 경찰은 병원 CCTV를 확보해 고의로 지운 흔적이 있는지, 또 어디서 사고가 난 것인지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건입니다.

2019년 6월 10일 월요일

[KBS] 자격정지 핀수영 국가대표, 대회 출전해 메달까지




[앵커]

핀수영 국가대표로 세계대회 수상 경력이 있는 선수가 도핑 방지 규정을 위반해 1년간 자격 정지라는 징계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해당 선수는 자격 정지 기간에도 국내 대회에 잇따라 참가해 메달까지 딴 것으로 KBS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신건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발에 커다란 물갈퀴를 끼고 하는 핀수영입니다.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이 종목 금메달을 따기도 한 국가대표 A 씨는 세계핀수영연맹으로부터 2017년 7월부터 1년간 선수 자격 정지라는 징계를 받았습니다.

도핑 검사를 위한 주소지 등록을 3차례 이상 하지 않아 국제 도핑 방지 규정을 위반한 겁니다.

도핑 규정을 어긴 선수는 국제대회뿐 아니라 전국 단위의 국내 경기에도 참가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 선수는 규정 위반 문제가 제기된 이후에도 전국체전과 전국핀수영선수권대회에 참가해 금메달을 땄습니다.

한국 도핑방지위원회는 지난해 1월 대한체육회에 공문을 보내 메달을 박탈할 것을 통보했습니다.

그러나 대한체육회는 1년 넘게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았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비리센터 조사관 : "자격정지 기간에 경기를 뛰었기 때문에 경기 뛴 것에 대해서 취소를 하라고 하는 건 대한체육회에 보내는 게 맞고, 통보를 받았으면 처리를 해야 되는 거죠."]

공문을 받은 기억이 없다고 해명한 대한체육회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스포츠비리센터가 조사에 착수한 뒤인 올해 4월에서야 뒤늦게 해당 선수의 메달을 박탈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부산시 체육회 소속인 해당 선수는 물론 대한체육회 담당자에 대해서도 징계 처분을 내릴 것을 요구했습니다.

KBS 뉴스 신건입니다.

[tbn] 출발! 대구대행진 - 영남일보와 함께하는 도로 위 안전모드 ON / 스텔스 차선 (상)

류 : 출발! 대구대행진 2부, 최고운전 프로젝트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는 지역일간지 영남일보와 함께 합니다. ‘고령 운전자 교통안전’,그리고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단속’에 이어서 오늘부터는 새로운 주제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대구교통방송 신건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