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 깜빡이를 켜고 멈춰선 차량. 천천히 움직이자, 옆 차로에서 화염에 휩싸인 화물차가 보입니다.
터널은 순식간에 연기로 가득 차 앞선 차량이 보이지 않을 정도입니다.
지난 달(5월) 23일, 부산 외곽순환도로 철마 4터널을 달리던 25톤 화물차에서 불이 났을 때의 모습입니다.
터널 안에 갇혀 오도 가도 못한 차량은 수십 대. 100여 명의 운전자와 탑승자들이 가까스로 800m를 걸어 나왔습니다.
소방대원 80여 명과 장비 30여 대가 신속히 투입돼 대피를 돕고 불을 초기에 꺼 대형 인명피해를 막았습니다.
사고 목격자[녹취]
"캄캄해서 앞이 안 보이니까 못 나오고 있었죠. 그런 다음에 연기가 조금씩 걷히더니 차선이 희미하게 보이더라고요. 그거 따라 나오니까 입구가 보이더라고요."
하지만 터널을 관리하는 한국도로공사의 재난 대응 체계에는 허점이 드러났습니다.
터널 화재 때 이른바 골든 타임은 최대 15분. 이 시간 안에 연기를 빼내 대피로를 확보해야 하지만, 이번 화물차 화재로 확산된 연기를 모두 제거하는 데는 1시간이나 걸렸습니다.
사고가 난 터널입니다. 이 터널 안에는 연기를 제어하고 뺄 수 있는 제연 시설이 아예 없습니다.
대형 사고 가능성 등 터널 위험도가 낮게 평가됐고, 터널 길이가 982m로 기준보다 18m 짧아제연 시설을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한국도로공사가 '이동식 제연 차량'을 운용하고 있지만, 부산·경남에는 고작 2대뿐입니다.
이번 터널 화재 때 제연 차량은 불이 난 지 50분이 지나서야 도착했습니다.
한국도로공사 담당자[녹취]
"거리도 영향을 미치고요. 사고가 났을 때는 도로상에 정체 현상도 있지 않습니까? 그런 부분도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터널 안의 비상 대피 통로도 정작 화재 때는 무용지물이었습니다.
김성모[인터뷰]/ 부산 기장소방서 지휘조사담당
"터널에 비상 대피시설이 거리마다 있기는 했는데, 이번 경우는 비상대피시설을 열면 반대차선으로 (연기가) 넘어가는 경우가 되겠습니다."
긴박했던 터널 화재로 드러난 부실한 방재 대책.
한국도로공사는 화재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걸 인정하고 개선 방안을 고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건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