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 헷갈리거나 내가 잘 모르는 교통상식을 알려드리는 시간! < 화요일엔 신상털기 : 신건의 교통상식 샅샅이 털기 > 대구교통방송 신건 기자와 함께 하겠습니다. (*인사)
김 : 오늘은 어떤 소식 가져오셨나요?
신 : 네, 오늘은 순환로지만 순환할 수 없는 도로,3차 순환도로가 과연 언제쯤 순환할 수 있을지를 알아봤습니다.
차 : 순환도로인데 순환을 못 한다, 궁금한데요,3차 순환도로가 어떤 도로인가요?
신 : 3차 순환도로를 알려면 먼저 대구의 도로 체계를 알아야 합니다.이게 3차 순환도로잖아요. 그럼 1차랑 2차도 있겠죠?어딘지 아세요?
김 : (답)
신 : 네, 옛 대구읍성이 있던 곳 일대가 1차 순환로인데요.신남네거리와 달성네거리, 동인네거리, 삼덕네거리를 이으면사각형이 나오는데, 거기가 1차 순환로입니다.좀 더 쉽게 말씀드리면 동성로 주변과 계명대 동산병원이 접한 도로, 경북대병원 앞 큰 도로가 1차 순환로라고 보면 됩니다.
차 : 저도 자주 다니는 도로인데도 1차 순환로인줄은 몰랐네요.
신 : 저도 이번에 취재를 하다가 알게 됐는데요,총연장이 6km에 불과하다보니까 순환로라는 생각이 안들더라고요.
김 : 그럼 2차 순환로는 어디인가요?
신 : 여기는 좀 큽니다. 1차 순환로 외곽을 쭉 둘러싸고 있는데요,달서로와 침산남로, 대현로, 송라로, 들안로, 명덕로, 이렇게 6개 도로를 이으면 총 연장 14.2km의 원이 만들어지거든요.이게 대구의 2차 순환도로입니다.
차 : 그러니까 숫자가 높아질수록 외곽으로 빠지는 거군요?
신 : 네, 말씀 하신 것처럼 대구의 도로는 크게 보면 달구벌대로랑 신천대로가 있지만, 또 이렇게 순환도로를 구성해서 교통이 계속 순환할 수 있도록구성을 해놓은 것이 특징입니다.
김 : 그럼 대구에는 순환도로가 몇 차까지 완성이 돼 있나요?
신 : 대구에는 4차 순환도로까지 조성이 돼 있습니다.3차 순환도로는 무열로와 청호로, 청수로, 대덕로, 대명로, 두류공원로, 서대구로, 노원로까지 대구의 6개 구군을 잇고요,4차 순환도로는 외곽순환고속도로를 끼고 호국로와 범안로, 앞산터널로, 상화로, 달서대로 이렇게 이어지거든요.그런데 여기서 이상한 점이 생깁니다.이 4차 순환도로는 2022년에 다 조성이 됐거든요.그런데 이보다 먼저 조성에 들어간 3차 순환도로는 아직도 완공이 안됐습니다.
차 : 3차 순환도로가 먼저 조성에 들어갔는데 나중에 조성을 시작한 4차 순환도로보다도 완공이 늦다고요?
신 : 네, 맞습니다. 자세한 이야기를 대구 남구청 최종철 정책추진단장에게 들어보겠습니다.
최종철 / 대구 남구청 정책추진단장
대구 3차 순환도로는 앞산네거리, 두류네거리, 복현오거리, 황금네거리 등 대구의 주요 중심지를 경유하는 총 연장 25.2km의 순환도로망으로 계획되었으나, 캠프워커 미군기지로 인해 1.4km 구간이 29년째 미개통된 상태로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김 : 그러니까 이 1.4km 때문에 도로 완공을 못하고 있다는 거네요?
신 : 네, 미군기지가 있는 곳은 우리나라 땅이긴 해도 이걸 이전하는 문제는 국가와 국가 간 문제라서 쉽지가 않거든요.
차 : 그러면 노선을 이렇게 계획하면 안됐던 거 아닌가요?
신 : 그런 이야기가 나올 수도 있지만, 당시 이렇게 노선을 짰던 이유가 있습니다.3차 순환로가 조성되기 시작한 게 2005년인데, 이때 봉덕동을 중심으로 엄청난 개발 열풍이 붑니다.지금 봉덕동에 있는 미군부대, 캠프워커가 이전한다는 얘기가 있었거든요.
김 : 미군부대가 이전하면 그 곳을 개발할 계획이었군요.
신 : 맞습니다. 캠프워커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미군이 계속 주둔하고 있던 시설인데요.2002년부터 연합토지관리계획, LPP 협정에 따라서부지가 조금씩 반환이 되고 있고, 2006년 말까지 이전하기로 했는데 비용 문제가 발목을 잡았습니다.당시 미군이 병참부와 사병숙소, 저장시설 이전 비용을우리나라가 부담하라고 요구했거든요.그러다가 2009년에도 헬기장과 활주로를 반환한다고 해서 2015년에는 사업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을 했어요.이때는 SOFA 합동위원회에서 LPP에 서명까지 했는데,지금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서편 활주로,이 부분은 제외됐습니다.
차 : 왜 제외가 된 건가요?
신 : 원래 서편활주로에는 관제탑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관제탑이 철거되고 외국인 고등학교와 상업시설, 면세점 등이 들어섰습니다.이게 미군 생활에 필요한 시설들이라서 철거도 어렵고, 새로 부지를 짓는다고 해도 미군 규정에 맞게 지어야 합니다.미군 측은 최소 200억 원 규모를 요구하고 있는데 지자체가 부담하기엔 액수가 크다고 합니다. 대구 남구청 최종철 정책추진단장의 말을 이어서 들어보겠습니다.
최종철 / 대구 남구청 정책추진단장
서편도로는 2021년 12월 국방부와 대구시 간 기부대 양여 방식의 합의각서가 체결되어 현재까지는 한미 합동실무단 회의를 진행해 왔으나, 사업비 부담 문제 등으로 현재까지 합리적인 이전방안 합의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김 : 결국은 비용문제네요.
신 : 그렇죠, 그나마 다음 달에 동편 활주로가 개통되는데요. 다만 개통이 되더라도 문제가 있습니다.
차 : 어떤 문제인가요?
신 : 이곳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거든요. 가뜩이나 이곳이 상습정체지역인데, 입주민 차량들까지 추가된다고 생각해보면교통난이 더 심각해지겠죠.
김 : 요즘 한 세대에 차를 2~3대씩 소유하고 있는 경우도 많아서 교통 정체 문제가 심각하겠는데요.
신 : 네, 그렇기 때문에 대구 남구청 최종철 정책추진단장도3차 순환도로의 완전개통이 꼭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이어서 들어보겠습니다.
최종철 / 대구 남구청 정책추진단장
3차 순환도로 주변에는 8개 아파트 단지, 약 6천 세대 입주가 예정되어 있어 교통 체증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올해 하반기 예정된 동편도로 개통과 단계적으로 추진 중인 서편도로의 완전 개통 시 교통 분산에 따른 영대병원 네거리 일대의 상습 정체 완화로 지역주민들의 출퇴근시간이 절약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남구로의 교통량 증가 및 생활 인구 증가로 지역경제 활성화 뿐만 아니라 대구의 주요 산업단지 및 유통 시설로 접근성이 높아져 대구의 균형 있는 발전에도 크게 기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차 : 캠프워커 주변을 가보신 분들이면 이 일대가 발전이 더딘 느낌 받으셨을텐데요,도로가 개통되면 개발에 도움이 되겠네요.
신 : 맞습니다. 이 미군부대 인근은 군사보안 문제 때문에 건축허가가 상당히 제한돼 왔거든요.그렇지만 개통이 된다면 지역 개발에도 도움이 될 걸로 보입니다.최 단장의 말 계속 들어보겠습니다.
최종철 / 대구 남구청 정책추진단장
단순한 도로 기능으로의 개통 의미 보다는, 대구시 균형발전을 목표로 계획된 순환도로의 최종 달성, 그리고 미군 부대 부지 반환으로 인한 주변 지역 주민들의 재산권 회복은 물론 기존 중심부에 집중된 인구와 기능 분산이 기대됩니다. 이는 도시 과밀화를 완화하고 쾌적한 도시 환경 조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차 : 앞으로의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신 : 우선 남구청은 완전 개통을 위해 정부 차원의 지원을 요청한 상태입니다.이어서 들어보겠습니다.
최종철 / 대구 남구청 정책추진단장
남구는 지난 1일 대구 3차 순화도로 완전개통을 기원하는 14만 남구민의 염원을 모은 남구민 한마음대회를 개최하여 주민 천 5백 명의 서명을 받기로 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대구시와 중앙정부에 주민의 뜻을 지속적으로 전달하고, 관계 기관 간의 협의를 통해 대구 3차 순환도로가 조기에 완전 개통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신 : 지금까지 얘기를 들어보면 보상비용에서 어느 정도 협의가 진행된 상태이긴 하지만,국가간 협상 같은 행정절차, 또 실제 공사까지 들어가려면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거든요.캠프 워커 때문에 남구 지역이 발전한 때도 있었지만,지금은 이 캠프 워커 때문에 개발이 제한된 상황이죠.협의가 서둘러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 : (정리하고)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신건 기자, 수고했습니다. (*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