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31일 화요일

[tbn] 달리는 라디오 - 화요일엔 신상털기 / 내년부터 바뀌는 대구경북 교통정책



차: 헷갈리는 교통법규, 몰랐던 교통상식, 제대로 알아보는 시간이죠? 신건기자가 교통 법규와 상식, 샅샅이 털어드립니다. <화요일엔 신상털기>, 신건 기자와 함께 합니다. (*인사)
김: 오늘은 어떤 소식 가져오셨나요?
신: 네, 오늘 2024년의 마지막 날이잖아요.올해도 여러 가지 교통정책에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다가올 2025년, 새해부터는 뭐가 바뀔지 궁금해 하실 분들이 많을 것 같아서내년에 바뀌는 대구경북의 교통정책 중 핵심만 모아 봤습니다.

차: 그렇군요. 첫 번째 소식은 뭔가요?
신: 네, 바로 내일이죠.포항과 삼척에서 끊겨있던 동해선 열차가 드디어 개통합니다.

김: 그러면 강릉까지 쉽게 갈 수 있겠네요?
신: 네, 맞습니다. 그동안은 강릉에 가려면 7번 국도를 따라서 쭉 올라가거나,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다가 영동고속도로로 갈아탔어야 했는데7번 국도는 아무래도 국도이다 보니까 신호등에 걸리기도 하고, 속력도 높지 않고요.그렇다고 고속도로를 이용하기에는 너무 돌아가거든요.이제는 기차가 다니면서 조금 더 접근성이 좋아졌습니다.

김: 기차가 동대구에서도 출발한다고요?
신: 네, 동해선은 하루에 상․하행선 각각 8편씩, 총 16편이 다니거든요.이 중에서 상․하행선 각각 4편씩,총 8편이 동대구를 출발해 포항을 거쳐 강릉까지 가게 됩니다.

차: 이제 대구에서 강원도 여행하기도 더 쉬워졌네요.다음 소식은요?
신: 대구 택시요금이 인상됩니다. 그동안은 2km에 4천 원이 기본요금이었는데, 앞으로는 1.7km에 4,500원으로,주행요금은 130미터당 100원에서, 125미터당 100원으로 오릅니다.

김: 기본요금의 경우, 거리는 줄었는데 요금은 올랐네요?
신: 네, 아무래도 체감되는 요금은 더 클 것 같은데요,교통약자이동수단인 ‘나드리콜’의 이용요금도 오릅니다.그동안 요금 한도가 시내는 3,300원, 시외는 6,600원이었거든요.그런데 내년부터는 시내는 4,500원, 시외는 9,000원으로 오릅니다. 대구시는 물가와 인건비 상승률을 고려해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는데요, 다만 택시가 공공재적인 성격이 있고 시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우려, 인상을 최소화했다고 말했습니다.

차: 연말 연초, 택시 이용하시는 분들 많을텐데, 참고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다음 소식 알려주세요.
신: 2월에는 시내버스 노선이 개편됩니다.전체 노선은 현재 122개에서 127개로 늘어나는데요.크게 보면 20개 노선이 신설되고, 15개 노선이 폐지가 됩니다.폐지하려 했던 동구 7번은 존치가 결정됐고, 노선도 강동중․고등학교를 경유하도록 조정했습니다.그리고 앞산터널을 통과하는 버스가 처음으로 생겼고,군위지역을 통과하는 노선도 신설되거나, 일부 조정이 있었습니다.

김: 4월부터는 현금 없는 시내버스가 도입된다면서요?
신: 네, 맞습니다. 그동안은 일부 버스만 현금없는 시내버스 제도를 시행중이었는데, 이제는 전면 확대됩니다.그러니까 이제는 교통카드가 없으면 버스를 타기 어렵겠죠.

차: 그러면 고령자 분들은 이용하기 좀 어렵지 않을까요?
신: 대구시가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시범 운영한 결과 대부분의 승객이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또 전국 최초로 ‘어르신 통합 무임 교통카드’가 보급되면서 고령층에서도 현금 없는 시내버스에 큰 불편을 못 느끼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

김: 하반기에는 대구형 어르신 무임승차 시스템도 확대된다고요?
신: 네, 포항시 등 14개 지자체에서 도입할 예정인데요, 그동안은 어르신 무임승차 시스템이지자체마다 조금씩 달라서 호환이 되질 않았거든요.그리고 도입을 하지 않은 지자체도 있었는데,대구시와 경북도 일부 지자체가 업무협약을 맺어서 개발비용도 줄이고, 시스템도 하나로 이용하자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특히 대경선이 개통되면서 다른 지자체로 넘어가시는 분들이 많아질 것으로 보이거든요. 시스템이 확대 도입되면 이제 어르신 분들이 다른 지자체로 이동할 때 대중교통을 좀 더 편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차: 마지막 소식 하나만 더 전해주시죠.
신: 대구시가 내년부터 수소버스를 매년 60대 씩 도입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김: 전기버스가 아니라, 수소버스요?
신: 네, 대구시가 전기버스를 도입을 했는데,전기버스는 충전을 하는 시간이 필요하잖습니까?그런데 충전기는 한정이 돼 있다 보니까더 이상 충전할 곳이 없다고 하더라고요.그리고 정부 기조도 이제는 전기보다는 수소버스를 선호하는 쪽이어서내년부터 매년 60대씩 수소버스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차: (정리하고)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내년에도 교통 소식, 발빠르게 전해주길 바라면서, 신건 기자하고는 여기서 나눌게요.
신: (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

[tbn] 출발! 대구대행진 - 영남일보와 함께하는 도로 위 안전모드 ON / 스텔스 차선 (상)

류 : 출발! 대구대행진 2부, 최고운전 프로젝트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는 지역일간지 영남일보와 함께 합니다. ‘고령 운전자 교통안전’,그리고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단속’에 이어서 오늘부터는 새로운 주제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대구교통방송 신건 기...